‘알프스 소녀 하이디’의 풍경화 같은 결혼식. 좀 진부하지만 이렇게밖에 표현하지 못하겠다.
이번 여름 스위스에 사는 조카 마리아의 결혼식은 깊은 감동과 여운을 남기고 잊지 못할 기억으로 각인됐다.

스위스 시민으로 살고 있는 손위 시누이의 둘째 딸 마리아는 얼굴만 한국 사람이지 한국말의 뉘앙스에 서툰 외국인이다. 서울에 오면 우리 집에 머물곤 하는 형님네 세 자매를 보며 나는 결혼 초기 내 딸을 스위스에서 교육시키고 싶다는 꿈을 꾸기도 했다. 그만큼 스위스에서 태어나 자란 세 자매는 순수하면서도 자유롭고, 자아가 단단하면서도 따뜻한 건강한 아이들이다. 세 아이 모두 엄마 아빠의 나라인 한국을 좋아해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곤 한다. 마리아는 이화여대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이수했고 서울에 오면 홍대 클럽에서 밤새 놀기를 좋아하는 천상 요즘 아이다. 감수성이 예민하고 예술적 안목을 가진 마리아가 과연 어떤 신랑을 골랐을까 궁금해하며 우리 가족은 스위스 여행 계획을 세웠다. 바르셀로나를 거쳐 스위스로 가는 일정에 직장인 딸은 스위스에서 합류하기로 하고.

로맨틱한 웨딩 세리머니의 무대가 된 아름답고 소박한 교회.

솔직히 마리아의 결혼식에 큰 기대를 걸지는 않았다. 결혼식을 빌미(?)로 코로나 이후 모처럼 길게 가는 휴가 여행이 주 목적이었으니까. 다만 그 중간에 있는 마리아의 결혼식은 우리가 ‘서울 대표팀’으로 참석한다는 그럴듯한 명분을 주었다. 게다가 마리아는 올봄 가족과 함께 독일인 신 랑 파울과 가족 결혼식, 혼인서약을 마친 후 이미 쾰른에서 실질적인 부부로 살고 있다(지난번이 약식, 이번이 진짜로 결혼식을 두 번 하는 셈이다).
바르셀로나의 뜨거운 태양 아래 가우디 심층(?)투어로 한 껏 상기된 남편과 나는 결혼식과 서울 대표팀 의미 따위는 까맣게 잊어버리고 스위스로 향했다. 베른의 시누 댁에 짐을 풀고 다음 날부터 기차를 타고 로잔, 몽트뢰 등 베른 근교 도시, 알프스 수스텐 패스(Susten Pass. 스위스3대 패스로 바이커의 로망의 로드. 이 언덕을 넘으면 이탈리아), 루체른, 이젤발트(드라마<사랑의 불시착>촬영지), 툰 호수, 심지어 오본 아웃렛까지 쏘다녔다. 베른을 가로지르는 아래(Aare) 강가에서 베른 사람들처럼 태닝과 피크닉을 즐기기도 했다. 이번에 건진 보물 중 하나는 베른 옆 동네 벨프(Belp)의 나지막한 산이다. 시내가 손바닥처럼 내려다보이는 정상(차를 타고 올라간다)에서 노을 지는 풍경을 보며 끝없이 펼쳐진 보리밭 사이를 맨발로 걷기도 했다. 시누네 덕분에 관광지가 아닌 스위스 현지인이 좋아하는 숨겨진 장소들을 보며 탄성을 지르고, 밤에는 라클레트(퐁뒤와 함께 스위스를 대표하는 치즈 요리)와 와인으로 여행을 즐기는 가운데 마리아의 결혼식이 다가오고 있었다.

인터라켄의 조용한 산 아래 마을 그슈타이크(Gsteig). 중세부터 있었다는 작은 교회에서 치러진 이 소박한 결혼식은 가족과 친구들의 정성과 사랑으로 가득 찬 시간과 공간을 연출했다. 마을에 울려 퍼지는 교회 종소리, 들꽃이 흐드러진 뒤뜰, 시냇물 소리만으로도 이미 결혼식 시작 전 마음이 말랑말랑해졌다. 신부의 자매인 요한나와 한나, 친구들이 결혼식장 장식과 만찬 준비를 맡았다. 싱그러운 여자아이들이 드레스 자락을 팔랑거리며 식장의 의자에 꽃 장식을 하다 서울 손님인 우리를 반갑게 맞이해준다. 결혼식에 초대된 사람은 모두가 신랑 신부를 잘 아는 지인들이다. 우리를 빼고는 독일과 스위스의 여러 동네에서 온 이들이다. 삼삼오오 모여 누군가가 신부의 어릴 적 이야기를 하면 다른 누군가가 바톤을 이어받는 분위기. 친구였다가 연인이 된 이 커플을 오래 보아 온 젊은 독인인 목사님이 주례를, 신랑의 친구들이 웨딩 송과 결혼식 예배의 찬송가 연주를 담당했다. 성스럽지만 따뜻한 유머를 곁들인 주례 목사의 결혼 예배에 이어 교회 뒤뜰 계단에서 너무나 간단한(?) 웨딩 촬영이 끝난 후 결혼식은 2부 피로연으로 이어졌다. 교회에서 그리 멀지 않은 산속에 나무로 지은 예쁜 트링크할레(Trinkhalle)산장. 활짝 열어놓은 넓은 통창에 융프라우 (Jungfrau 스위스 베른 알프스의 고봉 중 하나)가 걸리는 보기 드문 뷰는 아무 장식 없이도 완벽 그 자체다. 양측 부모, 자매, 친구들이 돌아가며 신랑 신부와의 추억, 에피소드를 얘기하며 파티의 분위기가 고조된다. 독일어와 스위스어로 진행돼 그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때로 웃음이 터지고 때로 울먹이는 표정에서 이들이 얼마나 신랑 신부를 사랑하는지 알 수 있었다. 친구들이 준비한 아카펠라 축가는 또 얼마나 아름다운지…. 산속에 울려 퍼지는 무공해 하모니는 깊은 감동을 전해주었다. 융프라우 배경은 시간이 흐르며 색이 바뀐다. 봉우리는 한여름에도 눈으로 덮여 있어 낮에는 푸른 하늘과의 대비로 하얀색이 더욱 도드라져 보인다. 이어 시간의 흐름에 따 라 노을에 물들어 점차 핑크색으로 변하다가 밤이 되면서 (스위스의 여름은 밤10시가 돼야 태양이 사라진다)달빛을 받으며 파란색으로 바뀌어간다. 비현실적인 컬러의 향연이다. 와인과 분위기에 취한 디너가 끝나면 어른들은 철수하고 신랑 신부와 친구들이 산장에 남아 3부를 맞이한다. 춤추고 노래하며 밤새 즐기는 젊은이들의 시간이다. 낮3시부터 밤새 이어지는 올데이 웨딩. 마리아의 행복한 결혼식이 끝났다.

함께 미소 짓고 울먹이는 행복한 결혼식 파티.

마리아의 웨딩은 결혼식 자체도 감동이었지만 결혼식 전날에 이 행사의 진면목을 알게 되었다. 그날 하루 종일 놀다 들어와보니 시누 댁의 거실과 베란다가 온통 꽃 천지였다. 여러 개의 물동이와 꽃병에 담긴 꽃은 바로 다음 날 결혼식에 쓰일 것들. 신부의 부케와 신랑의 부토니에, 가족, 주례의 코르사주, 결혼식장(교회)의 탁자와 의자, 만찬장을 장식할 꽃들이다. 한국의 결혼식에서는 예식장과 웨딩 숍의 몫인데 이 많은 꽃이 왜 여기 있는 걸까? 우리나라 결혼식의 경우 통상 ‘스드메(스튜디오 웨딩 촬영, 드레스, 메이크업)’와 함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게 바로 예식장 의 꽃(드레스 숍에서 준비하는 신부의 부케 포함) 아니던가. 마리아의 결혼식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고 한국과 다른 점은 바로 꽃이었다.

스위스의 꽃집은 다름 아닌 꽃밭이다. 들판 위의 넓은 꽃밭에서 결혼식에 사용할 꽃을 딴다. 물론 주인이 있는 꽃밭이다. 동네마다 각기 특성이 다른 꽃밭에는 종류별로 가격을 명시해놓고 무인으로 꽃을 판매한다. 사람들은 원하는 꽃을 원하는 만큼 꺾어 바구니에 담고 비용을 계산해 통에 돈을 넣는다. 마리아의 결혼식 꽃값은 모두 160스위스 프랑(CHF, 한화 약 24만원). 물론 한국의 예식장만큼 많은 꽃이 호화롭게 장식되지 않았지만 소박한 교회에 그리 부족함이 없었다. 형님은 마리아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잔잔한 들꽃을 골라 바구니 가득 담아 왔다. 다음 날까지 시들면 안 되기 때문에 꽃을 미리 준비할 수는 없다. 반드시 전날 가장 싱싱한 꽃을 마련해야 하는 엄마는 결혼식 전날 아주 바쁘다. 꽃 준비는 물론 결혼식 부케와 부토니에, 코르사주를 직접 만들고 만찬 식전 에피타이저도 직접 만들기 때문이다.
나는 아직 자녀의 결혼식을 경험하지 못했지만 우리나라의 결혼식 경우 꽃이 많을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가는 비용에 대해 여러 차례 얘기를 들은 바 있다. 호텔의 꽃값은 최저 2000~3000만원에서 1억원까지 호가한다고. 결혼식에서 꽃의 볼륨으로 예산을 어림짐작하기도 한다. 요즘은 결혼식이 끝난 후 하객에게 꽃을 나누어 주기도 하지만 사실 한두 시간 사용될 꽃의 존재감치고 이 비용은 너무 심한 거품이 아닐 수 없다.
꽃에서 시작된 나의 궁금증(실은 직업병이다)은 결국 마리아의 결혼식 경비를 하나하나 알게 되면서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웨딩드레스는 신부인 마리아가 직접 잘란도(Zalando, 독일의 온라인 쇼핑몰로 ‘유럽의 아마존’이라고도 불린다)에서 온라인 구매한 것으로 가격은 200유로(약29만원). 구매 후 어깨가 많이 드러나는 부분은 엄마가 한 땀 한 땀 꿰매주었다.

이 소박한 결혼식은 가족과 친구들의 정성과 사랑으로 가득 찬 시간, 공간을 연출했다. 마을에 울려 퍼지는 교회 종소리, 들꽃이 흐드러진 뒤뜰,시냇물 소리만으로도 이미 결혼식 시작 전 마음이 말랑말랑해진다.

그 외에 구두와 이브닝드레스에 약100유로(약15만원)가 들었다. 결혼식 전날 에어비앤비로 결혼식장 근처의 방을 렌트한 세 자매는 서로서로 도우며 신부 메이크업과 헤어를 해결했다. 신부 엄마, 자매들의 드레스도 비슷한 경로로 구매했고 메이크업도 각자 하거나 서로 도왔다. 이 준비 과정에서 꽃과 준비물 장보기, 현장 배송, 결혼식 전까지 세 자매와 신부 엄마의 동선을 담당한 로드 매니저(?)는 바로 신부 아빠다. 교회 렌트비 750프랑(약 114만원), 피로연 장소였던 산장 렌트비 1000프랑(약 150만원), 만찬 메인 요리 항목은 전 세계에서 물가가 비싸기로 유명한 스위스인 만큼 한국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은 듯하다. 예단 문화는 물론 없고 축의금보다는 신랑 신부에게 필요한 선물을 주는 경우가 훨씬 많다. 결혼식 비용은 신랑 신부의 부모가 상의해 함께 부담했다. 모든 절차와 프로그램 진행, 역할 분담(이를 테면 환경 미화 팀, 교회 준비 팀, 만찬 서빙 팀, 만찬장 설거지 팀은 시간대별로 교대)은 신부의 기획 아래 언니인 요한나를 디렉터로 하여 동생, 친구들이 진행했다. 웨딩 촬영도 지인이 하고, 결혼식 후에 보내온 영상도 친구들과 함께 만들었다. 신부 스스로 웨딩 플래너 역할을 했고 우리나라 결혼식 문화에서 가장 중요한 스드메와 꽃은 가족이 나눠 담당한 것이다. 내가 아는 한 가장 저렴한 드레스와 부케였지만 마리아는 지금까지 보아온 신부를 통틀어 가장 아름다운 신부였으며 훌륭한 기획자였다. 신부 가족, 스위스와 독일에 거주하는 친구들이 함께 준비한 마리아의 결혼식은 우리가 늘 보고 듣고 수시로 접하는 그런 결혼식과는 차원이 완전히 다른 것이었다. 처음부터 끝까지 신선한 충격과 함께 오롯이 감동으로 남은 이 결혼식 이후 나에게 바람이 하나 생겼다. 요즘 연애에도 심드렁한 내 딸이 언젠가(곧?) 결혼하게 되면 그저 눈도장 찍고, 축의금 내고, 결혼식 보는 척하다가 연회장 가서 밥 먹고 돌아오는 그런 결혼식은 하지 말았으면 하는 것이다. 굳이 나라별 결혼 문화를 따지거나 무엇이 옳고 그른지 비평하고 싶지도 않다. 다만 진심 어린 축하를 주고받는 행복한 결혼식, 알고 보면 너무 당연한 것인데 우리가 그동안 잊어버린 결혼식의 의미를 기억하자는 것이다. 물론 한 가지 의문은 남는다. 결혼식을 치르는 주최측이 무언가 의미를 충분히 전달하는 특별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해도 여기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과연 그들처럼 올 데이(All Day)를 할애할 수 있을까 하는 점이다. 바쁜 서울살이에서 이런 결혼식 문화가 타인에게 또 다른 민폐를 끼치는 건 아닐까. 간단한 주제는 아닌 것 같으니 미완의 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신랑과 신부의 새 출발을 위해 모여든 가족과 친구들.

writer Min Eunsun